서적목록 - 분석
현대음악, 분석적 관점 1950-1985

제목 Musiques contemporaines, Perspectives analytiques 1950-1985
저자 Jean-Yves Bosseur, Pierre Michel
출판사 Minerve
총 페이지 286
출판연도 2007
목차 * 세부 항목이 생략되었습니다.
1. 음렬주의와 그 성과
2. 문제의 작곡테크닉의 불변성
3. 새로운 성악적 표현
4. 오케스트라의 새 발견
5. 리듬
6. 음악적 헤리티지
7. 기악 테크닉
15개의 작품 분석 - 바흐부터 마누리까지

제목 Quinze analyses musicales - De Bach à Manoury
저자 Claude Helffer
출판 Contrechamps
연도 2006
목차
1. 바흐 파르티타 2번 BWV 826
2. 모차르트 소나타 라장조 K.311 (284c)
3. 베토벤 소나타 op.10 no.3
4. 베토벤 소나타 op.109
5. 슈만 환상곡 op.17
6. 쇼팽 발라드 4번 op.52
7. 드뷔시 영상 (Images, 2e)
8. 쇤베르크 세 개의 소곡 op.11
9. 쇤베르크 모음곡 op.25
10. 베베른 변주곡 op.27
11. 불레즈 첫 소나타
12. 불레즈 두번째 소나타
13. 슈톡하우젠 피아노소품 IX
14. 필립 마누리 Cryptophonos
15. 새로운 악보로의 접근
음악 형식 분석 요약: 방법론, 도식 및 영상 자료

제목 Précis d'analyse des formes musiales : Méthodes, schémas et vidéos
저자 Claude Abromont
출판 Minerve
연도 2024
책 소개
음악 형식을 이해하는 것은 음악 분석 학습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음악 고등 교육 기관에서 커리큘럼에 필수로 포함되어 왔습니다. 이 과정은 단지 형식의 주요 기능(제시, 대조, 전이, 전개 등)을 인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긴장과 이완의 흐름, 아이디어의 구성 방식, 그리고 작곡가들이 활용한 형식 모델(소나타 형식, 론도 형식, 주제와 변주 등)을 파악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런 구체적인 형식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기 위해 악보와 청각 자룔를 통한 분석법을 제시합니다. 마르카브루,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클라라 슈만, 브람스, 드뷔시, 베베른, 슈톡하우젠, 구바이둘리나, 패르트 등 150개 이상의 폭넓고 다양한 음악 작품을 예시로 활용합니다.
1945년 이후 기악 작품의 선율 - 단절을 중심으로 한 분석과 미학적 고찰

제목 La mélodie instrumentale après 1945 - Analyse et esthétique des ruptures
저자 Étienne Kippelen
출판 Delatour France
연도 2015
총 페이지 172
책 소개
선율이란 무엇인가?
이 까다로운 질문은 17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수많은 미학적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오늘날에는 그 연구를 현대 음악 레퍼토리에 적용해 본 전문가는 거의 없습니다. 때로는 이론적 근거와 실무 작품 모두에서 정당성을 잃었거나 구시대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는 1945년 이후의 선율은, 그러나 음악적 공간에서 단지 잠시 사라졌을 뿐입니다.
이 책은 지난 3세기에 걸친 멜로스(선율)의 미학적 기초를 다진 후, 음악 분석, 철학, 심리음향학을 동원하여 선율이 겪은 여러 단절의 의미를 조명하고자 합니다. 이 단절들은 점묘법적 직렬기법에서 비롯된 것, 음 높이의 개별 단계가 음향 덩어리 속으로 녹아 사라지는 것, 그리고 스펙트럴 퓨전(spectral fusion)에서 유래한 것 등으로 구분됩니다. 이 잔재들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행착오와 재현을 통해, 현대 음악 흐름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멜로디라는 개념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묘사합니다.